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야구

덤프버전 :

||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611301102590101000001010200-001.jpg
대한민국 야구역사상 가장 완벽했던 대표팀
1. 개요
2. 참가팀
2.1. 대한민국 대표팀 로스터
3. 그룹 라운드
3.1. A조
3.1.1. 1경기 : 대한민국 16 VS 5 대만
3.1.2. 2경기 : 대만 1 VS 4 일본
3.1.3. 3경기 : 일본 8 VS 13 대한민국
3.1.4. 4경기 : 대만 4 VS 5 대한민국
3.1.5. 5경기 : 일본 10 VS 11 대만
3.1.6. 6경기 : 대한민국 9 VS 2 일본
3.1.7. 최종 성적
3.2. B조
3.2.1. 1경기 : 태국 6 VS 5 필리핀
3.2.2. 2경기 : 필리핀 7 VS 17 중국
3.2.3. 3경기 : 중국 24 VS 5 태국
3.2.4. 4경기 : 필리핀 15 VS 5 태국
3.2.5. 5경기 : 중국 11 VS 1 필리핀
3.2.6. 6경기 : 태국 3 VS 13 중국
3.2.7. 최종 순위
4. 준결승
4.1. 1경기 : 대한민국 9 VS 2 중국
4.2. 2경기 : 일본 9 VS 8 대만
5. 3/4위 결정전 : 대만 10 VS 6 중국
6. 금메달 결정전 : 한국 13 VS 1 일본
7. 최종 성적
8. 이모저모


1. 개요[편집]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의 야구 종목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며 이 대회부터 프로선수들의 참가가 허용되었다. 그래서 박찬호 같은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었던 것이다. 특이사항이라면, 나무 배트가 아니라 알루미늄 배트를 사용했다는 점이다.[1]
또한, 대표팀 엔트리 22명(프로 12명, 아마 10명)을 모두 병역 미필자로 뽑았다.[2]

우승은 대한민국, 준우승은 일본. 3위는 대만이 기록했다.


2. 참가팀[편집]


출전자격출전확정일자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개최국 자동진출1990년 9월 27일2회19945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참가 지원1997년2회1994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9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참가 지원1997년2회1994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94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참가지원1997년2회1994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1994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참가지원1997년2회19944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참가지원1997년1회첫 참가-


2.1. 대한민국 대표팀 로스터[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width=20%><colcolor=#09539D>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9539D,#61ABF6> 16 김원형 · 20 김병현 · 21 경헌호
26 서재응 · 27 강철민 · 37 임창용
45 최원호 · 61 박찬호 ||
|| 포수 || 12 진갑용 · 42 홍성흔 · 44 조인성 ||
|| 내야수 || 6 황우구 · 7 백재호 · 11 강혁
14 신명철 · 18 김동주 · 24 강봉규 ||
|| 외야수 || 9 이병규 · 10 심재학 · 31 장영균
33 박한이 · 62 박재홍 ||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주성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박병준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이기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신현석 ||
||<-3><bgcolor=#09539D>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주성노호/1998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그룹 라운드[편집]


몽골이 불참하면서 A조는 한국 일본 대만 등 3강이 포함되고, B조는 중국 태국 필리핀 등 약체팀들로 구성됐다. 각 조별로 다른 팀들과 두 번씩 붙으며, 성적에 대한 처우는 조에 따라 다르다.

A조의 세 팀은 성적에 관계없이 무조건 4강에 진출하며, 성적은 4강에서 맞붙을 상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한다. 1위를 기록한 팀은 B조에서 1위로 올라온 팀과 4강을 치르며, 2위와 3위를 기록한 두 팀은 4강에서 다시 맞붙게 된다.

B조는 1위만 4강에 진출하여 A조 1위와 4강을 치르며, 2위와 3위는 탈락한다.

3.1. A조[편집]


A조는 대한민국, 일본, 대만이 포함되었다.

일본은 사회인야구 중심으로 대표팀 선수를 선발했으나, 대만은 한국처럼 프로선수를 참가시켰다.

방콕 아시안 게임 A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3.1.1. 1경기 : 대한민국 16 VS 5 대만[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A조 1경기, 12.7,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궈리젠푸0000000X500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박찬호000000016150N/A

대한민국 에이스 박찬호를 선발로 내세워 16-5로 대승을 거뒀다. 박재홍[현대]신명철[연세대]의 홈런 등 타선도 장단 15안타를 폭발시키며 쾌조의 스타트를 끊었다.

3.1.2. 2경기 : 대만 1 VS 4 일본[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A조 2경기, 12.8,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N/A000000000400N/A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N/A000000000100N/A


3.1.3. 3경기 : 일본 8 VS 13 대한민국[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A조 3경기, 12.9,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경헌호0000000001300N/A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N/A000000000800N/A

서재응이 3.1이닝 무실점 호투를 펼쳤고, 2회초 박한이[동국대] 이병규[LG] 김동주[OB]의 홈런포가 터지면서 6-2 리드를 잡을 때까지만 해도 가볍게 승리하는 듯했...으나
5회말 김원형[쌍방울]이 3점 홈런을 맞는 등 5점을 뺏기며 6-7로 역전을 당해 위기감이 감돌았다.
곧바로 1점을 추가해 7회 7-7로 맞선 상태에서 박한이의 적시타로 8-7로 재역전했지만 7회말 1실점하며 8-8 동점 허용.
그러나 8회초 이병규 안타, 신명철 몸에 맞는 볼로 주자 2명있는 상태에서 타석에 들어선 김동주의 3점홈런에 이어 강혁[현대]∼백재호[한화]의 백투백투백 홈런으로 13-8 승기를 잡았다.
8회말 등판해 1.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낸 임창용을 끝으로 1차리그를 2연승으로 마쳤다.

3.1.4. 4경기 : 대만 4 VS 5 대한민국[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A조 4경기, 12.11,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김병현000000000500N/A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N/A000000000400N/A

1-3으로 밀리고 있다가 김동주의 2루타를 시작으로 3-3 동점을 만든 다음, 7회때 박재홍의 2루타로 역전, 강혁의 1타점 적시타로 도망갔다. 하지만 일본 1차전에서 잘 던졌던 임창용이 실점하자 개막전 선발승을 거두었던 박찬호를 과감하게 구원으로 투입, 잘 막아내며 박찬호가 구원승을 따내게 되었다.

아아 합법적 병역 브로커 박찬호의 가호

3.1.5. 5경기 : 일본 10 VS 11 대만[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A조 5경기, 12.12,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N/A0000000001100N/A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N/A0000000001000N/A


3.1.6. 6경기 : 대한민국 9 VS 2 일본[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A조 6경기, 12.13,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N/A000000000200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박찬호00000000X900N/A

이병규가 2회 만루홈런, 5회 솔로홈런 등 연타석 홈런을 터뜨리는 등 무려 6타점을 쓸어담으며 9-2로 승리하게 됐다.

1번타자 홈런왕 이병규의 위엄

3.1.7. 최종 성적[편집]


순위경기수득점실점
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4404319
2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132434
3위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4132135


3.2. B조[편집]


B조는 중국, 필리핀, 태국이 포함되었다.
방콕 아시안 게임 B조
파일:중국 국기.svg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


3.2.1. 1경기 : 태국 6 VS 5 필리핀[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B조 1경기, 12.7,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N/A000000000500N/A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N/A00000000X600N/A


3.2.2. 2경기 : 필리핀 7 VS 17 중국[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B조 2경기, 12.8,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N/A0000000001700N/A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N/A000000000700N/A


3.2.3. 3경기 : 중국 24 VS 5 태국[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B조 3경기, 12.9,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N/A000000000500N/A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N/A00000000X2400N/A


3.2.4. 4경기 : 필리핀 15 VS 5 태국[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B조 4경기, 12.11,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N/A000000000700N/A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N/A00000000X1500N/A


3.2.5. 5경기 : 중국 11 VS 1 필리핀[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B조 5경기, 12.12,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N/A000000000100N/A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N/A00000000X1100N/A


3.2.6. 6경기 : 태국 3 VS 13 중국[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예선 B조 6경기, 12.13,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N/A0000000001300N/A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N/A000000000300N/A


3.2.7. 최종 순위[편집]


순위경기수득점실점
1위파일:중국 국기.svg 중국4406516
2위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4132839
3위파일:태국 국기.svg 태국4131957


4. 준결승[편집]



4.1. 1경기 : 대한민국 9 VS 2 중국[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준결승 1경기, 12.15,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김원형000000000900N/A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N/A000000000200N/A



준결승에 진출한 한국은 중국을 상대로 4회부터 등판한 김병현[성균관대]이 8연속타자 탈삼진쇼 등 6이닝 퍼펙트 12K를 기록하며 9-2로 승리해 결승진출 티켓을 얻었다.

이날 압도적인 투구를 보여준 김병현은 메이저리그 스카우터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안겨주었고 이후 메이저리그 애리조나와 계약을 맺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메이저리거 김병현의 시작

4.2. 2경기 : 일본 9 VS 8 대만[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준결승 1경기, 12.15,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N/A000000000800N/A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N/A000000000900N/A


5. 3/4위 결정전 : 대만 10 VS 6 중국[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준결승 1경기, 12.15,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89RHEB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N/A000000000600N/A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N/A0000000001000N/A


6. 금메달 결정전 : 한국 13 VS 1 일본[편집]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XIII Asian Games

━━━━━━━━━━━━━━━━━━━━━━━━━━━━
메달 결정전, 12.16, 퀸 시리킷 스타디움
선발1234567RHEB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기무라1000000100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박찬호243040X1300N/A

선발투수 박찬호가 1회초 2번 아쿠네에게 불의의 솔로홈런을 내주면서 긴장감이 감돌았다. 하지만 안정을 되찾은 박찬호는 7이닝 1실점 호투를 하며 마운드를 지켰고이후 타선이 장단 14안타를 뽑아내며 대폭발을 일으켜 13-1, 7회 "콜드 게임"승을 거두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7. 최종 성적[편집]


순위국가경기비고최종 성적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660우승
2파일:일본 국기.svg 일본624준우승
3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6243위
4파일:중국 국기.svg 중국6424위
5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413
6파일:태국 국기.svg 태국413


8. 이모저모[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3:01:10에 나무위키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야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로선수들이 중,고교시절에서나 쓸 법했던 알루미늄 배트를 사용하면서 홈런을 뻥뻥 날려대자 그 직후인 부산 아시안 게임에는 나무 배트로 바뀌었다.[2] 금메달 획득과 대표팀 선수의 병역면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그해 메이저리그에서 15승을 거둔 LA 다저스의 박찬호, 뉴욕 메츠 산하 더블A 세인트루시에서 활약하던 서재응까지 불러들였다.[현대] A B 피닉스[연세대] [동국대] [LG] [OB] [쌍방울] [한화] [성균관대] [3] 이 당시 대표팀에 뽑힌 아마추어 선수는 대학 선수 9명(강철민, 경헌호, 김병현, 홍성흔, 강봉규, 신명철, 황우구, 박한이, 장영균)과 실업 선수 1명(강혁) 등 10명이었다. 이 당시만 해도 프로야구를 관할하는 KBO와 아마야구를 관할하는 대한야구협회 간의 감정이 서로 좋지 않았던 시기라서 으르렁대던 일이 잦았다. 22명의 엔트리 중 절반을 아마추어에 양보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프로야구와 아마야구 간의 관계가 좋아진 것은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다. 그러나 이 시기부터 아마추어 선수들이 아시안 게임에 차출되는 일이 부쩍 줄어들었다.[4] 양준혁은 삼성 입단 이전에 상무에서 1년, 방위병으로 1년간 복무를 마쳤고 이승엽은 프로 지명을 받기도 전에 면제 판정을 받았으며 이대진은 방위병 복무를 했다. 1998년 당시 무려 39세였던 김용수는 최고령 다승왕 기록을 경신할 정도로 나이가 많았기에 탈락. 정수근과 김수경은 2년 뒤인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대표팀에 뽑혀 면제 혜택을 받았다.[개막전+결승전] 선발, 대만 두번째 경기 마무리

관련 문서